TEUxART란?
TEUxART는 예술산업 혁신프로젝트로, 예술산업의 문제를 인식하는 것을 시작으로,
해결 방법 도출 및 실행까지 체계적으로 성장시킬 수 있는 교육 모델을 통해
예술 산업을 이끌어 갈 미래가치와 담론을 창출하는 교육 프로그램이다.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주최하고, 예술경영지원센터가 주관기관으로 있으며,
타이드인스티튜트, TEU가 운영한다.
이밖에 디캠프, 서울대 캠퍼스타운, Gather.Town, Canva의 후원을 통해 진행된다.
출처: ARTMORE 공식 홈페이지, https://www.artmore.kr/
신청 방법 알아보러 가기 👉 https://pixel-waves.tistory.com/1
.
.
재능대학교 이남식 총장님 “융합과 혁신, 그리고 도전”
1990년대에 등장한 감성 공학 기술 개발(Human Sensibility Ergonomic Technology Development)은
인체의 특징과 감성을 제품 설계에 최대한 반영하는 기술로,
이미지나 감성을 구체적인 제품 설계로 실현해내는 공학적 접근법이다.
이 기술은 인간의 감성을 정량화하여 쾌적한 환경을 설계하는 데 중점을 두며,
이를 기술로 구현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러한 개념은 단순히 기계적 성능만으로는 명품을 만들 수 없다는 인식에서 출발했으며,
진정한 명품을 창조하려면 사람들의 마음을 이해하고
그 감정을 읽어내는 것이 중요하다는 생각이 그 기반이 되었다.
”예술의 영역을 넘는 확장과 지속가능성의 중요성”
지속가능한 사업을 위해서는 설득이 필수적이며,
그러한 설득을 위해선 상대방을 위한 이야기를 만들어야 한다.
개인의 생각은 자신의 논리 체계 안에서 형성되기 때문에 소통의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타인의 사고방식와 체계를 이해하고, 그들의 마음을 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수요자의 니즈를 정확히 파악하고, 고객의 언어를 배워가는 것 또한 매우 중요하다.
이는 비즈니스 용어로 랭귀지-마켓 핏(Language-market fit)라고 불리기도 한다.
✨ 감성공학 관련 참고 자료
- 포항공대, 감성공학 기획 특집, 2017 가을호 👉 https://buly.kr/6ifeGli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 기술 및 개발 동향, 2011 👉 https://buly.kr/NiMxQk
.
.
안녕소사이어티 안영노 대표님 “지속가능한 문화기획과 예술의 역할 ”
예술가, 기획자, 기업가의 경계를 넘나들며 각자의 관점을 이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예술가는 창작을 통해 세상과 소통할 수 있으며,
기획자는 그 예술을 관객에게 전달하고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기업가는 새로운 아이디어를 사업화하여 시장에 진출하고, 이를 통해 가치를 창출 할 수 있다.
예술가, 기획자, 기업가의 역할은 다르지만,
창의성과 혁신성을 바탕으로 문제를 해결해나간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예술 x 비즈니스의 성공 사례
📍데이비드 보위(David Bowie)
◾1997년, 데이비드 보위는 미래 음반 수익을 담보로 한
10년 만기 채권 “보위본드(Bowie Bonds)” 발행해 5,500만 달러를 판매했다.
이는 향후 10년간 발생할 저작권 수익을 투자자들에게
미리 지급하는 방식의 혁신적인 금융상품이었다.
해당 사례는 예술가가 자신의 음악 저작권을 통해
현금 흐름을 창출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 획기적인 사례로 평가된다.
◾ 데이비드 보위는 패션, 영화, 아트 등 다양한 영역으로 활동을 확장했으며,
특히 초기 인터넷 시대에 ‘보위넷(BowieNet)’이라는 온라인 커뮤니티를 운영했다.
이를 통해 팬들과 직접 소통하며 디지털 콘텐츠 판매 등 새로운 디지털 비즈니스 모델을 시도했다.
이는 예술가로서의 창의성을 디지털 플랫폼과 결합하여 혁신적인 방식으로
대중과 교류한 선구적인 사례로 평가된다.
◾ 데이비드 보위의 성공요인으로는 저작권을 기반으로 한 자산 운용 등의 혁신적인 접근과
자신의 브랜드 가치 극대화한 점으로 보인다.
그는 예술적 창의성을 금융과 디지털 비즈니스로 확장하여,
음악 뿐만 아니라 다양한 방식으로 가치를 창출하고 이를 성공적으로 관리했다.
📍팀랩(teamLab)의 디지털 아트 전시
◾일본의 디지털 아트 그룹 팀랩(teamLab)은 첨단 프로젝션 매핑, 인터렉티브 기술,
사운드 디자인을 결합해 몰입형 디자인 전시회를 운영하며,
물리적 공간과 디지털 기술이 결합된 예술 경험을 제공했다.
이 독창적인 방식은 전 세계적으로 큰 인기를 끌며,
관객들에게 새로운 차원의 예술적 체험을 선사하는데 성공했다.
◾팀랩(teamLab)의 성공 요인으로는 몰입형 예술 경험을 제공하는 독창적인 전시 방식,
글로벌 확장을 통한 폭 넓은 관객층 확보, 티켓과 굿즈 판매를 통한 수익 창출,
그리고 다양한 브랜드와의 콜라보레이션을 통한 지속가능한 비즈니스 모델 구축으로 보인다.
이러한 전략적 접근은 팀랩(teamLab)이 예술과 상업성을 성공적으로 결합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미드저니(Midjourney)와 인공지능 아트
◾인공지능(AI, Artificial Intelligence)를 활용해 텍스트 입력만으로
독창적 이미지를 생성하는 플랫폼이 개발되면서,
누구나 쉽게 예술 창작에 참여할 수 있게 되었다.
이를 통해 인공지능은 새로운 예술적 표현 도구로 자리잡았음,
창작의 접근성을 높이는 동시에 예술의 경계를 확장하고 있다.
◾미드저니(Midjourney)의 성공요인으로는 사용자 친화적 접근, 구독 기반의 수익 모델,
그리고 활발한 창작자 커뮤니티 구축으로 보인다.
이 플랫폼은 누구나 쉽게 AI를 활용해 창작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며,
지속적으로 사용자들과 소통하고 창작자 간의 협업과 공유를 촉진해 성공적인 생태계를 형성하고 있다.
✨ 예술 x 비즈니스 관련 참고 자료
- 알로하융의 브런치, 당신은 원하는 누구든지 될 수 있다- 데이빗 보위, 2017. 👉 https://brunch.co.kr/@yonash/98
- BAZAAR, 지금 가장 주목 받는 디지털 아트 그룹 팀랩, 2020. 👉https://www.harpersbazaar.co.kr/article/49234
- wikidocs, Midjourney Prompt 텍스트에서 아트로: 미드저니 사용자를 위한 안내서, 2023.
👉https://wikidocs.net/book/10206
.
.
소프트뱅크벤처스 유영석 파트너님 “지속가능한 예술, 투자 관점에서 ”
스타트업 투자에 고려되는 주요 정보에는 창업자 및 대표의 역량, 시장 규모, 제품 차별성,
제품 사용 지표, 비즈니스 모델, 그리고 투자금 회수 전략 등이 있다.
이러한 요소들은 스타트업의 성공 가능성을 평가하고, 투자 리스크를 줄이며,
장기적인 성장 가능성을 확인하는 데 중요한 기준이 된다.
스타트업 투자 시 고려되는 중요한 사항으로는 구현 가능성(Feasible),
판매가능성(Desirable), 지속가능성(Viable)이 있다.
◾구현 가능성(Feasible)은 아이디어나 제품이 실질적으로 개발 및 실행될 수 있는지,
기술적·운영적으로 실현 가능한지를 평가하는 요소이다.
◾판매 가능성(Desirable)은 시장에서 제품이나 서비스가 성공적으로 판매될 수 있는지,
즉, 수요가 있고 경쟁에서 차별화가 될 수 있는지를 의미한다.
◾지속 가능성(Viable)은 사업이 장기적으로 유지되고 성장할 수 있는지,
비즈니스 모델이 안정적이며 변화하는 시장 환경에서도 적응할 수 있는지를 검토하는 것이다.
이 세 가지 요소는 스타트업의 성공 가능성을 종합적으로 판단하는 중요한 기준이 된다.
투자 유치 시 설득력 있는 데이터이자 중요한 우선순위로는
수익, 매출, 서비스 사용 지표, 제품 완성도, 그리고 창업자의 역량이 있다.
◾수익: 사업이 실제로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지, 손익분기점을 넘겼는지에 대한
데이터는 투자자에게 매우 중요한 요소다.
◾매출: 사업의 성장 가능성을 보여주는 핵심 지표로,
현재의 성과와 앞으로의 성장을 예측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서비스 사용 지표: 제품이나 서비스의 사용자 수, 사용 빈도, 유지율 등
고객의 만족도와 시장 수요를 반영하는 중요한 데이터다.
◾제품 완성도: 제품이 얼마나 완성되었는지, 시장에 출시할 준비가 되었는지
또는 추가 개발이 필요한지를 판단하는 지표다.
◾창업자의 역량: 창업자의 리더십, 전문성, 경험 등은 스타트업이 어려움을 극복하고
성공할 가능성을 보여주는 중요한 요소다.
이러한 요소들은 투자자들이 사업의 잠재력과 리스크를 평가하는 데 중요한 기준이 된다.
끝으로, 해당 Keynote Speech 강연을 통해 사람들의 마음에 대한 공감과 시각화(Visualization)의 중요성에 대해 깊게 고민해볼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예술이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역할에 대해 새로운 시각으로 접근할 수 있었다. 또한, 예술의 가치를 인식하고 이를 지원하는 투자자의 관점을 이해해보는 경험이 되었으며,
예술과 비즈니스가 어떻게 상호작용하여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룰 수 있는지에 대해 고찰도 해보게 되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예술의 미래와 그 확장성에 대해 더욱 심도 있게 고민해보고자 한다.
'Archiving > TEUxART' 카테고리의 다른 글
[TEUxART 2기] Perspective: 김기현 교수님, 장동선 박사님 (38) | 2024.09.26 |
---|---|
[TEUxART 2기] Grand Challenges & Perspective: 김용재 사무국장님, 윤종영 대표님 (55) | 2024.09.25 |
[TEUxART 2기] 신청과정 & OT (12) | 2024.09.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