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chiving/TEUxART

[TEUxART 2기] Grand Challenges & Perspective: 김용재 사무국장님, 윤종영 대표님

pixel-waves 2024. 9. 25. 09:00

TEUxART란?

TEUxART는 예술산업 혁신프로젝트로, 예술산업의 문제를 인식하는 것을 시작으로,

해결 방법 도출 및 실행까지 체계적으로 성장시킬 수 있는 교육 모델을 통해

예술 산업을 이끌어 갈 미래가치와 담론을 창출하는 교육 프로그램이다.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주최하고, 예술경영지원센터가 주관기관으로 있으며,

타이드인스티튜트, TEU가 운영한다.

이밖에 디캠프, 서울대 캠퍼스타운, Gather.Town, Canva의 후원을 통해 진행된다.

 

                                  출처: ARTMORE 공식 홈페이지, https://www.artmore.kr/

 

 

신청 방법 알아보러 가기 👉 https://pixel-waves.tistory.com/1

 

.

.

 

UN협회 세계연맹 김용재 사무국장님 “인류 마지막 세대, 질문을 던지다”

MDGs에서 SDGs으로..

MDGs(Milennium Development Goals)는 2000년도에 UN에서 채택된 새천년개발목표이다.

이 목표는 2001년도부터 2015년까지 이행되었으며, 8개의 목표와 21개의 세부지표로 구성되어있다.

 

📍UN 새천년개발목표(MDGs, Milennium Development Goals)

     ◾ 빈곤과 기아의 탈출

     ◾ 보편적 초등교육의 제공

     ◾ 성평등과 여성 자력화의 촉진

     ◾ 아동사망 감소

     ◾ 산모건강 증진

     ◾ HIV/AIDS, 말라리아와 다른 질병 퇴치

     ◾ 지속가능한 환경 보장

     ◾ 개발을 위한 국제적 협력관계 구축

                                 출처: IISD, What the World Learned Setting Development Goals, 2021,

                                          https://www.iisd.org/articles/deep-dive/what-world-learned-setting-development-goals

 

What the World Learned Setting Development Goals

The 2030 Agenda and th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may offer the best option to reduce the worst impacts of COVID-19 and to “build back better.”

www.iisd.org

 

 

 

SDGs(Sustainable Development Goals)는 2015년도에 UN에서 채택된 새천년개발목표이다.

이 목표는 2016년도부터 2030년까지의 달성 목표이며, 17개의 목표와 169개의 세부지표로 구성되어있다.

 

📍UN 새천년개발목표(SDGs,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 빈곤과 종식

     ◾ 기아의 종식

     ◾ 건강과 복지

     ◾ 교육

     ◾ 성평등

     ◾ 깨끗한 물과 위생

     ◾ 지속가능한 에너지

     ◾ 양질의 일자리와 경제 성장

     ◾ 혁신과 인프라 구축

     ◾ 불평등 완화

     ◾ 지속가능한 도시 및 거주지 조성

     ◾ 책임 있는 소비와 생산

     ◾ 기후행동

     ◾ 해양 생태계 보호

     ◾ 육상 생태계 보호

     ◾ 평화, 정의 및 제도 구축

     ◾ 목표 달성을 위한 파트너십

 

                                  출처: ASD, UN SDGs, 2024, https://asdun.org/?page_id=2528&lang=en

       

미래의 필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발전은 '사회 발전, 경제 성장, 환경 보존'이라는 세 축이 균형 있게 조화를 이룰 때 가능하다. 따라서 모든 국가는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이행을 위해 끊임없이 노력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 관련 참고 자료

      - UN. (2015). 밀레니엄 개발 목표 보고서(MDGs)

        👉 https://www.un.org/millenniumgoals/2015_MDG_Report/pdf/MDG%202015%20rev%20(July%201).pdf 

     - UN. (2020). 지속 가능한 개발 목표 보고서(MDGs)

        👉 https://unstats.un.org/sdgs/report/2020/The-Sustainable-Development-Goals-Report-2020.pdf

     - UN/DESA. (2020). 정책 브리핑 #81: COVID-19가 SDG 진행에 미치는 영향: 통계적 관점.

        👉 https://url.kr/uh1z5a

     - UN. 지속 가능한 개발 목표 보고서(SDGs)

        👉 https://www.internationalegg.com/app/uploads/2024/06/The-egg-industrys-commitment-to-the-UN-SDGs.pdf


.

.

타이드인스티튜트 윤종영 대표님 “실리콘밸리의 혁신, 그리고 우리의 혁신”

📍지난 100년간 가장 중요한 기술 발명 20가지

     ◾1918년, 농업의 혁신을 가져온 인공 비료
          : 독일의 화학자 Fritz Haber는 공기 중에서 질소를 추출해 암모니아를 만드는 방법을 발명했으며, 이로 인해 1918년에 노벨상을 수상했다. 이 방법은 처음에는 제1차 세계대전 중 폭발물과 화학 무기를 만드는 데 사용되었지만, 전쟁이 끝날 즈음에는 인공 비료를 만드는 주된 방식이 되었다.

 

     ◾1923년, 현대 냉장고의 탄생

          :  냉장 기술은 이전부터 존재했으며 가정용 냉장고는 1913년에 도입되었지만, 1923년에 이르러서야 현대적인 일체형 냉장고가 실현되었다.

 

     ◾1924년, 무선 팩스의 발명

          :  이미지와 텍스트를 유선으로 전송하는 기술은 이전부터 존재했지만, 1924년 Richard H. Ranger가 무선으로 이미지를 전송할 수 있는 photoradiogram을 발명하면서 획기적인 발전이 이루어졌다. 이 기술을 통해 뉴욕에서 런던으로 당시 미국 대통령인 Calvin Coolidge의 이미지를 무선으로 전송하는 데 성공했다.

 

      1926년, 로켓 공학의 탄생

          :  현대 로켓 공학, 즉 액체 연료 로켓의 시대는 1926년 Robert H. Goddard의 첫 번째 성공적인 로켓 비행으로 시작되었다. 고다드의 로켓 발명은 우주 여행을 포함한 수많은 발명과 혁신의 기초로 알려져 있다.

 

     ◾ 1927년, 전자식 텔레비전의 발명

          :   Philo T. Farnsworth가 최초의 전자식 텔레비전을 발명했다.

 

                                  출처: University of Utah

 

     ◾1928년, 페니실린

          : 영국의 화학자이자 생물학자인 Sir Alexander Fleming은 우연히 항생제를 발견했다.1928년 9월, 플레밍은 포도상구균 배양체가 오염된 곰팡이에 의해 죽은 것을 발견했으며, 그 곰팡이가 바로 페니실륨(penicillium) 계열의 '페니실린'이다. 페리실린은 현대의 의약품 연구 및 치료법의 도움이 되고 있다.

 

     ◾ 1930년, 제트 엔진

          :  두 명의 엔지니어가 거의 동시에 현대적인 제트 엔진을 개발했다. Frank Whittle의 경우엔, 1928년에 제트 엔진을 제안했으며, 그의 엔진은 이후 영국의 Gloster Meteor 항공기에 사용됐다. 두 번째 제트 엔진 발명가는 독일의 Hans von Ohain은 1939년에 세계 최초로 제트 엔진만으로 비행한 항공기 Heinkel He 178을 개발했다.

                                  출처: US Air Force

 

     ◾1935년, 레이더

          : 스코틀랜드 출신 엔지니어 Robert Watson-Watt의 연구로 1935년에 영국에 접근하는 독일 항공기를 경고하기 위한 레이더 설치 프로젝트인 Chain Home이 개발되었으며, 이를 시작으로 현대 Radar 기술이 발전하게 되었다.

 

     ◾1938년, 현대의 농업용 기계

          : 1938년, Massey-Harris No. 20 농업용 기계의 개발으로 수확 방식에 혁신이 일어났다.

                                  출처: US Air Force

 

     ◾1940년, 컬러 TV

          : 1928년에 최초의 기계식 컬러 텔레비전이 만들어졌지만, 상업적으로 실현 가능한 컬러 TV 기술은 1940년대에 이르러서야 등장했다. RCA의 완전한 전자식 컬러 시스템을 발명을 통해 1953년에 미국 연방통신위원회(FCC)에 의해 채택되었으며, 1960년대에 컬러 방송이 본격적으로 확산되었다.

 

     ◾1941년, 최초의 Turing-complete 컴퓨터

          : 1941년 독일의 엔지니어 Konrad Zuse가 최초로 Turing-complete 컴퓨터를 제작했으며, 컴퓨팅 기술의 근본적인 발전이 되었다.

                                 출처: Nick Heath/TechRepublic

 

     ◾1947년, 최초의 반도체 트랜지스터

          : 1947년 벨 연구소(Bell Labs)에서 John Bardeen, William Shockley, Walter Brattain은 두 개의 금속 결정이 접촉한 게르마늄 결정이 입력 신호를 증폭해 더 큰 출력 신호를 생성한다는 사실을 발견하며 최초의 트랜지스터를 만들었다.

 

     ◾1956년, 최초의 하드 드라이브

          : IBM 350 가로 60인치, 높이 68인치, 깊이 29인치에 이르는 거대한 크기였으며, 약 500만 개의 6비트 문자, 즉 약 3.75MB를 저장할 수 있었다. IBM 350은 역사상 중요한 하드 드라이브로, 데이터를 저장하고 접근하는 방식을 혁신적으로 바꿨다.

 

     ◾1963년, 쉬워진 사진 촬영

          : 1960년대에는 '포인트 앤 슛' 카메라가 등장하기 시작했다. 코닥(Kodak)의 인스타매틱(Instamatic)은 저렴하고 사용하기 쉬웠으며, 1963년부터 1970년까지 5,000만 대 이상 판매되었다.

 

     ◾1969년, 패킷 교환 네트워크

          :  ARPANET는 1969년에 미 국방부의 컴퓨터들을 연결하기 위해 구축되었으며, 패킷 교환 기술을 사용한 최초의 네트워크 중 하나이자, 가장 중요한 네트워크였다.

 

     ◾1973년, Internet Protocol Suite

          : TCP/IP로 알려진 기술을 최초로 사용한 네트워크였으며, 패킷 교환 기술을 한 단계 더 발전시켰다.

                                 출처: Nick Heath/TechRepublic

 

     ◾1974년, 최초의 개인용 컴퓨터

          : Altair 8800은 최초의 개인용 컴퓨터였다. 모니터와 키보드도 없는 형태를 지녔으며, 각 작업은 전면의 스위치를 사용해 명령어로 하나씩 프로그래밍해야 했다.

 

                                 출처: The Smithsonian Institution

 

     ◾1979년, 가지고 다닐 수 있는 플레이어

          : 1979년 Sony Walkman의 발명으로 전 세계의 사용자 음악 경험이 혁신적으로 변화했다.

 

     ◾1983년, 휴대전화의 탄생

         : 1980년대 초반에 이미 차량용 전화기가 존재했지만, 1983년 세계 최초의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휴대전화인 Motorola DynaTAC가 등장했다.

 

    ◾1994년, 최초의 스마트폰

         : 아이폰이 세계 최초의 현대적인 스마트폰으로 여겨질 수 있지만, 그보다 10년 이상 앞선 터치스크린 기기로 IBM Simon Personal Communicator가 있었다.

                                 출처: Microsoft

 

 

윤종영 대표님의 강의를 통해  오늘날 첨단산업단지의 대표적인 사례인 리콘밸리의 성공 배경, 기업 문화, 그리고 실패에 유연하게 대처하며 창의성을 중시하는 방식에 대해 알게 되었다. 실리콘밸리의 성공요인과 한국 스타트업 환경을 비교하며 예술 스타트업이 겪는 구조적 문제를 다뤄주셔서 참고할 수 있었다.

덧붙여, 20세기 중반부터 21세기 초반까지의 기술 발전이 현대 사회에 미친 큰 변화와, 우리 삶의 연결성 및 효율성이 어떻게 향상되었는지를 다시금 되새게 되었다.